論語]-논어(The Analects of Confucius )를 읽어보자 #27

論語]-논어(The Analects of Confucius )를 읽어보자 #27 이전에 1독 하였던 [논어] 다시 읽으면서, 제가 좋아하는 좋은 글귀 공유위해 올립니다. 광고는 아닙니다. 다만 글솜씨가 없어서 소감이 짧을 뿐입니다. (출처표시) 한필훈, 「논어」, 안티쿠스, 2012 좋은 하루 되십시오 學而時習之, 不亦說乎? (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라~)...

8 years ago, comments: 3, votes: 7, reward: $2.13

論語]-논어(The Analects of Confucius )를 읽어보자 #27

이전에 1독 하였던 [논어] 다시 읽으면서, 제가 좋아하는  좋은 글귀 공유위해 올립니다.
광고는 아닙니다. 다만 글솜씨가 없어서 소감이 짧을 뿐입니다.
(출처표시) 한필훈, 「논어」, 안티쿠스, 2012

좋은 하루 되십시오
學而時習之, 不亦說乎? (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라~)
스티미언님들도 기회가 되실때 [논어] 로 배우고 익히시면 기쁘지 않을까요?


위나라 대부인 극자성이 말하였다.
“군자는 내면이 훌륭하면 그만이지 말이나 행동을 교양있게 하는게 뭐 그리 중요합니까?”
자공이 말하였다. “안타깝군요. 당신은 지금 너무 큰실언을 했습니다. 내용과 형식은 다같이 중요하며,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입니다. 호랑이나 표범의 가죽에서 털을 뽑아 버린다면, 어떻게 개나 양의 가죽과 구별될 수 있겠습니까?”

KEC 생각 : 오늘도 논어를 읽어보며 마음에 와닿는 글 공유하기 위해 올려 보았습니다. 말만 혹은 행동만을 교양있게 하는 것을 ‘허세’라 표현하면 될지 모르겠습니다. 내면이 첫째이고, 이후에는 격식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. 중요한 핵심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격식만 차리는 모습이나, 내용이 중요하다고 격식을 차리지 않는 모습. 이런 모습들이 옳은지 한번 생각해보아야하겠습니다.  좋은 하루 되십시오

p.s. 1. 털뽑은 소가죽과 돼지가죽을 구별하지 못하냐?! 이런 의미없는 대화는 하지 않겠습니다
p.s. 2. 미우새를 보면 허세는 그런뜻으로 쓰이지 않는것 같습니다